파리에서 도시락을 파는 여자
시크릿 책만 60번을 읽었다는 캘리 최 회장의 스토리이다.
어린 시절 시골에서 남들과 같이 평범하게 살았던 한 소녀가
돈이 없어 고등학교를 갈 수 없게 되었다.
그때 가난이라는 것을 알았다.
학교에 가기 위해 낮에는 공장에서 일하고, 저녁에는 수업을 듣고
꿈을 펼치기 위해 떠난 일본과 파리 유학
30대에 카레 우먼으로 살았던 한 여자의 인생이 사업실패로 10억의 빚과 죽음의 문턱까지 닿았다
나를 위해 희생하신 엄마를 위해 다시 한번 인생을 살기로 마음먹고
10억 빚더미에서 5000억 기업 CEO까지, 영국 345위의 부자가 되기까지 딱 5년이라는 시간이 필요했다
(베컴 부부가 354위, 엘리자베스 여왕 372위)
기적은 한순간에 일어나지 않는다
실패를 해 봐야 겸손한 마음을 가질 수 있다고 한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유명한 명언은 누구나 알 것이다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말고 오롯이 나 자신의 지난날에만 비교하며
소처럼 우직함과 동시에 호랑이처럼 앞을 내다보아야 한다
기적은 만드는 데 있어서는 천재적인 능력이 필요한 것이 아니다
누구보다 큰 열정을 가지고 철저히 준비하는 자 만이 그 성공을 가질 수 있다
실패하지 않는 것이 가장 큰 실패라고 한다.
실패를 두려워하는 순간 자신의 능력을 제한한다.
우리는 성공을 좋은 대학을 졸업해 좋은 직장에 들어가고 결혼을 하고 자식을 낳고 평범하게 잘 살기를 바라지만
좋은 대학, 좋은 직장은 단순히 수단일 뿐
행복과는 거리가 멀다
성공한 사람이 나락으로 떨어지는 시기는 바로 초심을 잃기 시작한 시점이다
회사가 커질수록 겸손함을 잃지 말아야 한다
'만약'이라는 가정은 큰 의미가 없다. 그때였더라면,,, 그때 이렇게 했더라면,,,
매일매일 절약하는 습관을 만들고 한 시간을 절약해 어떻게 쓸 것인가를 생각해야 한다
쓸 때는 쓰고 아낄 때는 아끼는 습관을 실천하며
회사의 성장을 늘리기 위해서는 어떠한 투자도 아끼지 않는다
지난날을 뒤 돌아보며 실패 원인 분석하기
실패한 원인을 여러 가지로 분석해 보았다
1. 자만함과 오만함
나 자신도 구제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누구를 돕는다는 것은, 누구의 삶을 구제하겠다는 것은 경영자로서의 미숙함이었다
사람을 대하는 태도는 중요한 것이다. 권위적인 말투와 행동도 중요한 부분이었다.
나는 분명 부탁을 했는데 상대방은 명령과 지시로 받아들였다
행동의 문제가 아니라 지나고 보니 그 안에 있는 권위의식이 문제였던 것이다
2. 융통성의 부족
경험이 부족하였고, 경영이 미숙하였고, 통찰력도 발휘하지 못했다
눈앞에 쌓인 일을 처리하기 급급해 다른 것은 돌아볼 수 없었다.
앞으로 세상이 어떻게 변할지 경기의 흐름에 따라 유연한 대처가 필요하다
3. 공부 부족
스스로를 과대평가하고 다 해낼 수 있을 거라는 착각이다.
사업을 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자산인 사람과 세상의 변화를 잘 따라잡아야 한다.
경기가 어려워도 내 사업은 잘 될 것이라는 착각은 실패를 불러왔다
다시 사업을 시작한다면 제일 먼저 공부를 할 것이다
사장에게는 사장에게 맞는 공부가 있다
나에게 2년이라는 준비기간은 결코 긴 시간이 아니었다
요식업, 유통, 초밥에 대해 무지했고 경영자로서 소양도 부족했다
나 만의 기준 만들기
남들이 많이 한다는 것은 곧 경쟁이 심한 사업이다
이 일이 재미있고 돈을 벌 수 있을 것 같아서 시작한다고 하는 것은
돈이 많은 사람이라는 이유 하나로 결혼을 하는 것과 같다
따라서 3가지의 사업 선정 이유를 만들었다
1. 경기를 타지 않을 것
2. 돈이 많이 들지 않을 것
3. 내가 잘하고 좋아해서 재미있게 할 수 있는 일, 다시 말해 미쳐서 할 수 있는 일일 것
명확한 기준이 있어야 흔들림 없이 선택하고 성공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진다
장기적인 그림을 그려야 한다
지금 당장 창업하여 손님을 끌고 오픈 기념행사를 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어떻게 튼튼하고 오래갈 수 있는 회사를 만들 수 있는가 이다
생각해보면 너무나 당연한 것을 대부분의 사람들은 시작 전에 알지 못한다
한국의 경우는 창업자의 60%가 창업 3년 이내에 폐업한다고 한다
장기적인 그림으로 100년 기업이 되어야 한다
10년 20년 30년 50년은 물론이고 1년 1달 10일 1주 기준으로도 명확한 계획이 있어야 한다
꼼꼼한 계획이 있어야 한다
급변하는 세상에 계획을 고집하기보다는 수시로 계획을 변경하여 전략을 수정해나가는 과정이 필요하다
실패를 장려하는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
위험을 회피하는 것은 혁신을 가로막는 것이다.
우리 회사는 실패를 장려하는 문화이다. 직원들에게 적은 금액으로 많이 실패하라고 한다
자주 실패하고, 빨리 금방 실패하고, 돈을 적게 들여 실패하라
실제로 이러한 많은 경험을 쌓기 위해 우리 회사에 있는 직원들도 있다.
이들도 언젠간 자기 사업을 할 수도 있는데 그때 실패를 하지 않기 위해 지금 회사에 있는 동안
안전하게 실패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회사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미래를 보아야 한다
혼자서 예측하는 건 불가능하고, 여럿이 모여서도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미래를 그려내는 힘이 바로 '통찰력'이다
'책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타고니아, 파도가 칠 때는 서핑을 / 좋아하는 일로 성공하고싶다면 (0) | 2022.01.20 |
---|---|
웰(부)씽킹(생각) 영국 상위0.1%가 된 엄청난 비밀 (1) | 2022.01.20 |
타이탄의 도구들 평범한 사람이 천재와 싸워 이기는 방법 (0) | 2022.01.19 |
내 아이를 위한 감정코칭 내 소중한 아이 어떻게 키워야 할까 (0) | 2022.01.18 |
부자아빠 가난한아빠 어떤 지식을 배워야 하는가 (0) | 2022.01.18 |
댓글